무료축제를 유료로 변경했다가 본전도 못건짐

무료축제를 유료로 변경했다가 본전도 못건짐

이름하야 진주유등축제. 정확하게는 진주남강유등축제입니다.

 

 









데이트코스로도 나름 각광받고있으니 많이들 가보시길 바랍니다. 펨붕쿤..

 

 

2002년부터 시작해 올해 19년째 행사를 이어가고있으니 나름 대단한 행사겠지만

 

진주시의 헛발질이 2015년부터 시작됩니다.

 

2015년부터 진주시측에선 계속 "유료화"를 해야한다는 방침을 내세웠고

 

 

 

 

 

 


https://www.dand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3

 

 

 

 

시민의 90%가 반대하는 유료화를 굳이 밀어붙여서 무려 성인 1인당 10,000원이라는 가격을 책정합니다.

 

 

 



 

 

 

 

2013년부터 그 행사를 다녔던 나는 이해되지 않는 금액에 갸우뚱하며

 

뭔가 바뀐게 있겠거니 하며 가보게 됨.

 

 

 

작년의 재탕. 바뀐것도 없고 새로워질것도 없이 거진 그대로였음.

 

약간씩 디테일이 바뀌었을지언정 유등자체가 한번 만들면 꽤 오래 쓰는건지 봤던걸 또 봤음.

 

바뀐건 그저

 

 

 

 

 





가림막이 유료로 생성됨! 뙇!

 

그로인해 시민들의 불만이 치솟으며

 

"아니 돈은 안내도 지나가면서 볼 수 있게는 해줘야되는거 아니냐?"

"그래도 시민들이 지나다니는 다리인데 경관을 이렇게 망치냐?"라는 인식이 강해짐.

 

 

그러나 정작 공무원들은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02/129079/

 

 


응 ㅈ까 우리 잘됐음~ 롤모델임 이라고 우기기 시작함.

 

그러나 2015, 16, 17 3년동안 매해 언론에 "수익이 얼마가 났고 이렇게 대박이 났습니다!!"라고 올리던 지표가

 

2018년엔 아예 알려주지 않음. 지역경제효과에 대해서 매년 언플하던 진주시가 왜..?

 

지역 특수를 기대했던 상인들도 다들 혹평이었을 정도로 유료화 자체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빴음.

 

 

 

이로인해 진주시는 어쩔 수 없이

 

 

 

https://www.yna.co.kr/view/AKR20181015100100052

 

 

결국 유료로 선언한지 4년만에 다시 무료화로 전환을 하였지만

 

4년이란 기간동안 쌓여버린 나쁜이미지들을 벗어내지 못하고 코로나 여파까지 터지며 상황은 더 악화되기에 이름.

 

 

무료에서 유료로. 그리고 다시 무료로.

 

 

 

유등축제를 보면서 문득 다음메일과 프리챌사태가 생각났던건 왜일까..

 

 

모쪼록 매년 재밌게 잘 가던 유등축제라 아쉬운마음에 적어봅니다.

 



신고
SNS 공유하기

  Comment

BEST 1 네임드  
저 진주시 공무원들 90프로가 정말 유료화 찬성했을까?? 윗대가리 간부들이 유료하자!! 하니까 밑에 직원들은 어쩔 수 없이 찬성 사인했을걸?? 장담한다. 결국 시장이나 윗대가리들 해처먹으려고 하는 수작일 뿐이다


6 Comments
떡감  
공무원섹끼들 1년마다 10%씩 걸러서 자르고 새로뽑아야지 지들이상전이라니까  비리저지르면 바로자르고 연금압류하고
네임드  
저 진주시 공무원들 90프로가 정말 유료화 찬성했을까?? 윗대가리 간부들이 유료하자!! 하니까 밑에 직원들은 어쩔 수 없이 찬성 사인했을걸?? 장담한다. 결국 시장이나 윗대가리들 해처먹으려고 하는 수작일 뿐이다
베베  
국민90퍼반대면 그냥 하지... ㅜ
ㅇㅇㅇ  
우리나라 정서에는 꾸준한 업뎃이 되는건 유료로 이용잘함. 에버랜드같은 놀이동산.
그 외는 부분유료로 뽑아먹을 생각해야함.
쩡이  
돈내고 봣엇는데..
비비드  
에고 공무원들 밀어부치더니..

럭키 172 포인트!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