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에 나무가 빽빽한 이유
1. 한국은 온돌로 난방을 하는 국가 였음.
2. 온돌 난방은 마른 나무인 장작을 땔감으로 사용해서 나무 소비가 엄청난 난방방식임.
3. 한반도 기후도 나무가 크는데 장애가 됨
4. 한반도는 가을부터 봄까지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어서, 수시로 일어나는 산불에 산이 홀라당 타버리는 일이 계속 생김
5. 한국의 난방 방식은 변함이 없어서 해방 이후에도 지리산과 개마고원같이 사람이 들어가기 힘든 지역을 제외하고는 한반도에 제대로된 숲이 사라져 갔음
6. 6.25전쟁이 터지자 그나마 남아있는 산림도 파괴되어, 당시 유엔 보고서는 한국의 산림은 복구될 수 없다고 보고됨.
7. 당시 월드뱅크는 개발도상국들에게 나무를 심는 자금을 지원했었음.
8. 하지만, 개도국들은 나무를 심는 자금을 돈으로 주면 떼어먹고, 묘목으로 주면 대충 심고 관리를 안해 나무가 뿌리를 내리는 활착율이 10%도 안나옴.
9. 625전쟁으로 산림이 폐허가 된 한국에도 월드뱅크의 지원금이 나옴.
10. 처음에 한국도 월드벵크의 지원금을 떼어먹는게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았음.
11. 한국은 월드뱅크의 식목 지원금으로 묘목을 사는게 아니라 무연탄과 시멘트 탄광을 개발한 것임
12. 월드뱅크가 삥땅이라고 ㅈㄹ했지만, 한국의 설명을 듣고는 납득을 해버림.
13. 장작으로 난방을 하고 나무로 집을 짓는 한국에 나무를 심기만 해서는 제대로 크지도 못하고 땔감이나 기둥이 된다.나무대신 땔감과 건축자재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을 먼저 제공해 줘야 한다는 논리 였음.
14. 무연탄과 시멘트 탄광들이 가동되기 시작하자 , 땔감용 나무대신 연탄이 보급되기 시작했고, 목재 가옥은 시멘트 양옥으로 대체되기 시작함.
15. 두번째 한 일은 화전민을 없애는 것이었음.
16. 깊은 숲속에는 화전민들이 일부러 불을 질러 나무를 태워 없애고, 그 자리에 농사를 지어 먹고살고 있었음.
17. 화전민들을 산 밑으로 이주시킴.
18. 높은 교육열을 자극하고, 먹고 살 일거리를 마련해 줌.
19. 어린 자식들까지 교육도 안시키고 화전민으로 키울거냐는 말이 화전민들에게 먹힘.
20. 화전민 정착촌을 근사한 양옥으로 지어주고, 그 곳에 학교를 만들어 줌.
21. 화전민 여자는 국가가 운영하는 묘목 농장에 고용했고, 남자는 벌을 치는 양봉을 할 수 있게 지원했으며, 산에 있고 싶으면 산을 지키는 산지기로 채용해주고 임금을 줌.
22. 도시에 살고싶다는 화전민이 있으면, 환경미화원으로 고용해서 먹고 살 거리를 마련해주며 화전민을 줄여나감.
23. 당시 숲이 많은 강원도에만 3만명의 화전민이 있었는데 이들 대부분을 이렇게 정리함.
24. 이렇게 사전정비를 한 후 나무를 심기 시작함.
25. 공무원들을 활용했음.
26. 당시에도 공무원들은 해당 지역 출신들이 읍사무소, 면사무소를 장악하고 있어, 민관이 한통속이라 정부 지시가 작동이 잘 안되었음.
27. 교차 검사가 신의 한수 였음.
28. 경상도 공무원은 전라도로, 전라도 공무원은 경상도로 보내는등 산림 공무원들을 타 지역으로 보내서 교차 검사를 하게 함.
29. 공무원들간에 경쟁도 붙임.
30. 묘목이 죽지않고 제대로 자라나는 활착율이 높은 지역의 공무원들에게는 특진과 성과급을 줬고, 활착율이 낮은 지역의 공무원들은 성과평가를 까버림.
31. 자기가 속한 지자체가 성과평가를 잘 받기 위해서는 타지역 점수를 까내려야 함. 어설프게 술한잔 접대받고 타지역 점수를 잘 주면 자기 조직 평가가 망가지기때문에 공무원들이 타지역에 교차점검을 가면 눈에 불을 킴.
32. 이렇게 깐깐하게 검사를 하다보니, 활착율 100%라는 숫자가 나옴.
33. 월드뱅크는 활착율 100%라는 숫자를 믿지 않았음.
34. 개도국들 평균 활착율이 10%도 안나오는데, 묘목 하나도 안죽이고 100% 다 키운다는 활착율은 사기라고 평가함.
35. 그런데 활착율 100%는 사실이었음.
36. 묘목을 공급할때는 이동 과정이나 심는 과정에서 묘목이 죽는것을 감안해서 110%를 보통 공급했음.
37. 곰무원들은 110%의 묘목을 받으면 100%를 일단 지정된 장소에 심고, 남은 10%를 다른 곳에 심어서 키움.
38. 타지역 공무원들이 활착율을 점검하러 오는 시기가 되면, 나무를 심은곳에 다시 가서 말라죽거나 비실비실하는 나무가 있으면 딴곳에 짱박아 심은 나무로 교체를 해버림.
39. 해픙과 돌산으로 나무가 자랄수 없는곳으로 간주받던 포항시까지 녹화사업이 완료될 정도였음.
40. 포항 영일구의 경우 흙도 없이 암반층만 노출된 상태로 풀도 자라기 힘든 지역임.
41. 이 가파른 암반층에 허리에 줄을 묶고 인부들이 올라가서 도랑을 파고 물을 부어 퇴적암반이 풍화되게 함.
42. 어느정도 풍화가 되면, 거름을 섞어 나무를 심고, 가물면 물을 길어다 주며, 매년 비료까지 주는 생고생 끝에 산림이 복원됨
43. 아카시나무 같은 외래종을 심어서 욕을 먹었으나, 아까시나무는 수명이 짧은 나무라 산림환경이 조성된후 자연적으로 죽으며 떡갈나무등 활엽수로 대체되고 있는 중임
44. 당시 녹화사업은 그 자체로 완결된 것이 아니라 산림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기 위한 과정의 성격으로 당시의 척박한 토질환경에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음
45. 60년대에 메마른 토양에서 잘 자라는 큰 키나무는 리기다소나무, 사방오리, 아카시나무 정도밖에 없었고, 아카시나무의 경우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으로 척박한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나무였음
46. 외래종을 심어 생태계 교란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결과적으로 외래종들이 나이를 먹어가며 말라죽고 자생 활엽수림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자연스럽게 산림 복원이 이뤄지게 됨
47. 최초 계획도 1차는 아카시나무등 생명력이 강한 픔종, 2차는 소나무등 중형목, 3차는 경제성이 좋은 대형종으로 10년씩 3차로 미리 계획된 초장기 프로젝트 였음
48. 박정희대통령이 2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죽는 바람에 계속 진행이 2차에서 흐지부지 중단되어 현재 산지 대부분이 소나무등 중형목판이 되어버림
49. 선거로 뽑히는 높으신들 눈에는 산림이 제대로 자라나 돈이 되는 시기는 자기 집권시기를 훨씬 지나서 였고, 증형목만 하더라도 산이 파랗게 보이기는 해서 “민둥산도 아닌데 뭐 하러 돈 쓰나”하는 마인드가 된 것임
50. 여튼 1982년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한국은 2차 세계대전이후 산림녹화에 성공한 유일한 나라 라고 보고서를 발간하기도 함.
51. 현재는 태양광 개발로 민둥산으로 원복중임.
한줄요약. 1970년대까지 한국 산에는 나무들이 거의 없었음. 20년간 노력해서 울창한 한국 산이 됨. 태양광때문에 다시 민둥산으로 원복되고 있음.
무단수정 금지. 원출처 남길것
원출처 :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