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지 간에 순우리말로 바꾸면 직관적인 느낌이 든다

뭐든지 간에 순우리말로 바꾸면 직관적인 느낌이 든다

1. 서울

 

 

 




서울, 아리

 

(Seoul, Ari)

 

 

※ 서울은 의외로 순우리말 + 서라벌에서 기원한 것을 추정

 

아리는 백제가 부르던 명칭인 위례에서 온 것으로 추정

 

 

 

 

 

 

 

 

 

 

2. 인천

 

 



 

미숫골

 

(Misutgol)

 

 

※ 비류가 세운 미추홀에서 유래되었는데

 

의외로 일본어로 물을 뜻하는 미즈(みず)와 연관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3. 강릉

 

 



 

하슬라, 가사라

 

(Hasla, Kasara)

 

 

 

 

※ 하슬라는 신라식, 가사라는 고구려식

 

 

 

 

 

 

 

 

 

 

 

 

4. 철원

 

 

 



 

쇠두레

 

(Soedule)

 

 

 

※ 소목장의 울타리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

 

 

 

 

 

 

 

 

 

 

5. 논산

 



 

 

누르리모이부리

 

(Nururimoiburi)

 

 

 

※ 논산의 옛 지명은 황산벌인데, 이것도 한자식 표기이기에

 

당시 백제어를 재구한 것

 

 

 

 

 

 

 

 

 

 

 

 

5. 대전

 

 



 

한밭

 

(Hanbat)

 

 

 

 

※ 한은 크다 / 밭은 밭(田)

 

 

 

 

 

 

 

 

 

 

 

6. 공주

 

 


 

 

고마나루

 

(Komanaru)

 

 

 

 

※ 고마 = 곰 / 나루 = 나루터

 

웅진이 이 고마나루를 한자어로 바꾼 것

 

 

 

 

 

 

 

 

 

 

7. 청양

 

 


 

 

고로

 

(Koro)

 

 

 

 

※ 무려 마한 시대부터 이어진 지명

 

 

 

 

 

 

 

 

 

8. 광주

 

 



 

노기

 

(Noki)

 

 

 

 

※ 백제시대에 광주를 뜻한 奴只를 향찰로 읽은 것

 

참고로 빛고을은 최근에 정착된 지명

 

 

 

 

 

 

 

 

 

 

 

9. 전주

 

 

 



 

 

온다라

 

(Ondara)

 

 

 

 

※ 온 = 100, 완전하다 / 다라는 들판

 

 

 

 

 

 

 

 

10. 목포

 

 



 

미아기

 

(Miaki)

 

 

 

 

※ 고대의 지명인 勿阿兮을 재구한 것

 

 

 

 

 

 

 

 

 

11. 고창

 

 


 

 

모로

 

(Moro)

 

 

 

 

※ 순우리말로 풀면 뫼, 즉 이라는 뜻

 

 

 

 

 

 

 

 

 

 

 

12. 부산

 

 


 

 

가마뫼

 

(Kamamoe)

 

 

 

 

※ 부산의 증산의 모습이 가마솥 모양인 것에서 유래

 

 

 

 

 

 

 

 

 

13. 대구

 

 


 

 

달벌

 

(Dalbeol)

 

 

 

 

※ 산이 있는 벌판이라는 뜻

 

 

 

 

 

 

 

 

 

14. 밀양

 

 


 

 

미리벌

 

(Miribeol)

 

 

 

※ 상고시대 변한의 소국인 미리미동국에서 유래

 

 

 

 

 

 

 

 

 

 

15. 안동

 

 



 

고타라

 

(Kotara)

 

 

 

 

※ 삼국사기에 古陁耶로 표기된 것을 재구

 

 

 

 

 

 

 

 

 

 

16. 포항

 

 



 

어링불

 

(Aringbul)

 

 

 

 

※ 변한시기 포항의 해안가 지역을 가리키던 말

 

 

 

 

 

 

 

 

 

17. 경산

 

 


 

 

누르돌

 

(Nurdol)

 

 

 

 

※ 상고시대 이 지역에 존재하던 押梁國(압독국)의 재구

 

 

 

 

 

 

 

 

 

18. 함안

 

 

 



 

아라, 알라

 

(Ara, Alla)

 

 

 

 

※ 이 지역에 있던게 바로 아라가야

 

가야인들은 알라라고 불렀음

 

 

 

 

 

 

 

 

 

19. 청주

 

 


 

 

마르골, 마르달

 

(Markol, Mardal)

 

 

 

 

※ 맑다 + 고을, 들판

 

 

 

 

 

 

 

 

 

 

20. 경주

 

 

 


 

 

서라벌

 

(Seorabeol)

 

 

 

 

※ 서라 = 신라 / 벌 = 들판

 

서울의 어원이 여기서 왔다는 설이 유력함

 

 

 

 

 

 

21. 부여

 

 



 

소부리

 

(Soburi)

 

 

 

 

※ 백제의 수도인 사비성이 있던 곳으로

 

서라벌과 마찬가지로 서울의 어원으로 추정

 

즉 고대 한국어에서 소, 서+벌이 수도를 뜻하는 말이었을 가능성이 있음

 

 

 

 

 

 

 

 

22. 세종

 

 


 

 

두나기

 

(Dunaki)

 

 

 

 

※ 과거 이곳의 지명인 두잉지(豆仍只)가 두나기의 음독으로 추정

 

 

 

 

 

 

 

23. 제주도

 

 



 

탐모라섬

 

(Tamora)

 

 

 

 

※ 고대 한국어로 마을 = 모라

 

의외로 일본어 무라와 연관있다는 주장이 있음

 

 

 

 

 

 

 

 

 

 

24. 랴오양

(중국 랴오닝성)

 

 



 

오라골

 

(Orakol)

 

 

 

 

※ 이곳은 고구려의 요동성이 위치한 곳으로

 

요동성의 고구려식 음차가 오렬흘, 순우리말로 오라골

 

 

 

 

 

 

 

 

 

25. 쓰시마

(일본 나가사키현)

 

 



 

나룻섬

 

(Narut)

 

 

 

 

※ 津島라고 표기된 것을 음차한 것

 

근데 참고로 한국인이 부른 津島(진도)와 

 

일본인이 부르는 對馬(대마) 모두 일본어로 쓰시마로 읽힌다

 

 

 

 

 

 

 

 

26. 녹툰오스트로바

(러시아 프리모리예주 하산)

 

 

 


 

사슴섬

 

(Sasum)

 

 

 

 

※ 원래는 여진의 영토였으나, 세종 시기에 줘패고 가져온 섬

 

참고로 한자로 표기하면 녹둔도이다

 

 

 

 

 

 

 

 

-끝-

신고
SNS 공유하기

  Comment

BEST 1 글쎄……  
"직관적"의 뜻을 모르나... 아님 전생에 백제인이었나... 누르리모이부리 가 직관적??


4 Comments
gom  
Koma=곰.. kuma=곰(일본어) 백제랑 일본이랑 교류가 많았다더니 언어도 비슷한게 많았을듯.
마이크로  
순우리말은 직관적이지 않습니다.
그 단어자체를 잘 안쓰기에 다시 설명해야하는데 그게 직관적일 수 없지요.

본문의 예시는 대부분 순우리말을 다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말은 단어를 만들어 내는 조어능력이 떨어집니다.
어떠한 새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내는 수준), 풀이는 할 수 있지요.

하지만 한자문화권이기 때문에, 한자어가 없으면 설명되지 않거나 아주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본문의 대전 = 큰밭
으로 쉽게 변형할 수 있지만,

비행기 = 날틀
같은 아주 촌스럽고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선외기 = 배의 외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추진장치 = 배의 바깥아 달아 쓰는 전기와 기름을 운동힘으로 변환시켜 나아가게 하는 장치 (전기는 순우리말로?)

이딴식이 되어버립니다.

선외기라는 특이한 용도의 단어를 짧은 순우리말로 만들려면, 아예 새로운 단어를 창조해내야 하는 수준이죠.


토롱이 = 배 바깥에 고정하여 쓰이는 추진장치를 뜻하는 순우리말.(지금 지어냄)
이딴 식입니다.

토롱이라는 단어가 앞으로 선외기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안되겠죠?

사랑. 사람. 꿀. 핏줄 이렇게 과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쓰인 순우리말이 아니라, 서라+벌 처럼 설명해야한다면 죽은 단어입니다.

인생 = 사람의 삶.
정도로 쉽게 변환가능하지만.

열반. 카르마. 티비. 에어컨. 라디오 이런 단어는 순우리말로 표현한다고 직관적이게 되는게 아니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본문은 말이 안되는거. 직관적이지도 친절하지도 않을 설명덩어리일 뿐입니다.

럭키 144 포인트!

글쎄……  
"직관적"의 뜻을 모르나... 아님 전생에 백제인이었나... 누르리모이부리 가 직관적??
그냥그렇게  
[@글쎄……]
직관적이란뜻으로 접근하면 헷갈릴수잇는데 뜻이 직관적이다라고 생각하면 이해하실듯 들 벌판 산 강 섬이란뜻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