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오마카세, 인스타는 다 허세라는 인강 강사

호텔, 오마카세, 인스타는 다 허세라는 인강 강사

14 21376 18 모에모에큥



신고

  Comment

BEST 1 글쎄……  
이게 한국 저출산의 본질임. 양육비용? 주거문제? 다 핑계거리일 뿐. 본질은 남보다 잘 (폼나게) 키우지 못할 바엔 낳지 않겠다는 것. 그런데 모두가 남보다 잘, 평균이상 수준으로 하면 평균이 올라가 버린다. 그래서 바라는 수준은 더 올라가고. 출산율은 더 떨어지고. 비교질 좋아하다가 국가 소멸 중.
다른 큰 요소가 하나 더 있는데 그거 말하면 왕꼰대 취급 받을거라 안 알랴줌 ㅋ


14 Comments
페인  
전세계에서 제일 나쁜 속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이게 울나라 사람의 속마음임..

어차피 기후변화 깨문에 2050년이면 지구 망한다는대...
애 안낳는것...될대로 되라지 뭐..
지유  
맞는 말...... 라떼는 싸이월드가 있었죠. 저도 옛날에 사진 올릴려고 많이 싸돌아다녔는데 지금은 sns아무것도 안하니까 그냥 동네 집 순이가 되었어요ㅋㅋ 세상편함
오늘하루  
남들이랑 비교하지 않으면 크게 문제 되지 않아요
모두 전교 1등은 할 수 없잖아요?
찌니  
진짜 맞는말임..
Fly  
진짜 100프로 공감
30년뒤면 진짜 말로만그리던 헬조선될듯
가우리야  
뒤통수한대맞았다... 이거네..ㄷㄷ
글쎄……  
이게 한국 저출산의 본질임. 양육비용? 주거문제? 다 핑계거리일 뿐. 본질은 남보다 잘 (폼나게) 키우지 못할 바엔 낳지 않겠다는 것. 그런데 모두가 남보다 잘, 평균이상 수준으로 하면 평균이 올라가 버린다. 그래서 바라는 수준은 더 올라가고. 출산율은 더 떨어지고. 비교질 좋아하다가 국가 소멸 중.
다른 큰 요소가 하나 더 있는데 그거 말하면 왕꼰대 취급 받을거라 안 알랴줌 ㅋ
수줍은댕댕이  
[@글쎄……]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게 생각함

남들보다 잘(폼나게)이 아니라,
'남들 만큼' 키우고 싶은데, 그게 어려우니까 안 낳는다고.

남들 만큼 키우지 못하겠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이미 말해주셨음.
다만, '내가' 남과 비교하는 것도 있지만 '남이' 나와 비교하는 시선도 그에 못지 않게 큼.

빌라 살아도, 월 2~300씩 학원 안 보내도, 1~200짜리 유모차 안 사도 애 키우는 데 지장 없음.
근데, 세상이, 사람들이 그걸 문제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니, 부모가 걱정이 돼서 안 할 수가 없지.
비교하는 사람이 반, 아닌 사람이 반만 돼도 그냥 키울 수 있음.
근데 온 사회가 비교한다면, 비교를 안 하는 사람들이 자기 소신대로 살 수 있는 자리가 너무 좁아.
그래도 소신을 지키는 사람들이 있지만, 평범한 사람들에겐 쉽지 않지
소고기  
[@수줍은댕댕이]
돈도없는데 남들 먹는 100만원짜리 밥먹고 남들가는 100만원짜리 호텔은 가야겠고 200벌면서 여기저기 돈빌러서 가는거 꼴뵈기싫음
계획적으로 결혼해서 애낳는애들 극히드믈다 주변만해도 거의 속도위반해서 애낳고사는 쪽이 더많더라
애들이 절약이 없다 남하는거 다따라하고 안하면 죽는것도 아닌데 남이 해외여행 간다고하면 자기도 가고싶다고 같이데려가달라고하고 사진에 환장한듯 자가만족이없고 허영심만 가득함
가우리야  
[@글쎄……]
애 낳으면 수입은 반토막나는데 입은 하나 늘어서 안그래도 쪼들리는데 아둥바둥 살게 뻔히 보이거등.. 그래서 출산을 포기한다

그리고 또다른 요소가 뭔지 알려줘요
글쎄……  
[@가우리야]
쪼들리며 사는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죠. 멀지 않은 옛날엔 보리고개에 밥 굶고 단칸셋방에서 온 식구가 모여 자면서도 애는 줄줄이 낳았어요. 당연히 세상이 변했는데 뭔 헛소리냐고 반문하겠죠. 그러니까 내말은 "세상이 변했다"는게 문제지, 쪼들린다는게 문제의 본질은 아니라는 겁니다. 요즘 한국에서 아무리 쪼들려도 애 줄줄이 낳던 그 시절보다 생활이 어렵진 않죠. 그러니까 아무리 제도적 경제적 지원을 해서 안 쪼들리게 해도, 세상이 변한 부분을 어떻게 못 해서 문제 해결이 안 된다고 봅니다. 그럼 세상이 어떻게 변했느냐. 한마디로 여자들의 욕구(남과 비교)와 목소리(결정권)가 너무 커져버렸음. 출산/육아는 아무리 경제적으로 여유있고 제도가 잘 되어 있어도 어머니의 육체적, 사회적 희생 없이는 안 되는 건데, 출산이 의무가 아닌 선택이 되다보니까, 그 희생을 내가 왜 (젊어서/두번이나/애초에) 해? 하게 된 것.
WHOIU  
[@글쎄……]
궁금하네요 ㅋㅋㅋ
줄리  
[@글쎄……]
아이를 낳으면 경력이 단절되고, 대학까지 보내려면 한 명당 3억원이 들고, 초등 4학년때 의대반/비의대반으로 갈리고, 소아 응급실이 없어 병원을 전전하다 죽는 사회에서 저출산은 지극히 당연한 진화적 적응 현상입니다.
아이 키우는 데 걸림돌이 되는 입시, 주거, 의료 환경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종합적으로 병행돼야 한다는 뜻이죠.

당장 공무원들 많이 사는 세종시가 왜 전국에서 출생률 1위를 달리는지 살펴보세요.
국공립 보육시설이 41%, 국공립 유치원은 95%에 달하고, 특별 분양으로 내 집 마련이 어렵지 않으며, 안정적 일자리에 칼쾨근과 육아휴직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0
 글쎄……  5시간전
글쎄……  
[@줄리]
세종시 공무원들은 그 직업에서 오는 혜택으로 자녀에게 평균 이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이겠죠. 그들이 받는 혜택을 전 국민에게 확대 적용하면 출산율이 올라갈까요? 아니라고 봅니다. 다 같이 받는 것으론 "남보다 잘" 이 안되니까.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