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에서 의외로 색깔이 다른 거
그건 바로 공장제 기와와 전통 수제기와

전주한옥마을
은평한옥마을
공장제 기와의 경우 보통 이렇게 진한 검은색에 공장제답게 전부 균일한 색깔.
반면 전통 수제기와는

경복궁 사정전

법주사 팔상전
이런식으로 완전히 검은색이라기보단 회색에 가까우며 색깔이 균일하지 않고 알록달록한 특성이 있음
당연히 가격은 공장제 기와가 수제기와보다 쌈. 그래서 현대한옥은 당연하고 문화재들도 몇몇 중요한 건물 제외하면 공장제 기와를 많이 씀
다만 개인적으론 문화재의 경우 수제기와로 통일하는게 수제기와 건물과 공장제 기와 건물이 이질적이지 않으며 고풍스러운 맛을 더해주는 거 같아서 돈이 더 들더라도 수제기와로 통일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음.
사실상 한옥=지붕이라 할만큼 한국 전통건축에서 지붕은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기도 하고..

0 Comments
/var/www/issuya.com/skin/board/issuya/view/tto_basic
지금 뜨고있는 이슈
6
17546
7
13780
10
13671
13
9548
5
6634
6
6610
9
6119
10
5452
4
5006
1
3268
1
2924
2
2764
2
2351
0
2108
1
2065
2
1749
1
1596
1
1385
1
1382
Today
pick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hit
[rank] => black
[term] => day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date] => 1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comment
[rank] => black
[term] => week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1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color
[sort] =>
[rank] => darkred
[term] =>
[dayterm] => 3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