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평가 '트럼프 당선시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8월 6일,한국신용평가에서 미국 대선 관련 보고서를 업데이트 했습니다.
한국신용평가 홈페이지 가면 풀버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보고서 간단 요약입니다


주요 정책 변화가 거시지표 및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1) 금리/환율 : FED 발 김준금리 인하 전망되나, 트럼프 발 금리상승 압력으로 불확실성 확대
2) 유가 : 친환경정책의 후퇴와 화석연료 공급 증가에 따라 중장기적 하향안정화 전망
3) 주요 정책 변화가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대중 관세부과 , 공급망 재편 : 중국발 과잉생산 => 제조업 수익성 하락 VS 공급망 재편의 수혜
-친환경 정책 후퇴: 관련 산업(2차전지,태양광 등) 에 부정적, 실제 정책 변화 폭은 모니터링 필요.
<주요 정책 변화가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요약>
-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위축 예상
-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 심화될수록 세계의 제조기지로서 중국의 역할은 지금보다 위축, => 이 과정에서 중국의 과잉 생산물량이 아시아 시장으로 저가 유입되면서 국내 제조업체의 저마진 구조 이어질 것으로 우려
- 국내 기업들의 탈중국,미국 집중화 현상 가속화 예상 => 생산기지 옮기는 과정에서 투자부담 확대, 공장 철수에 따른 비용 등 비경상적 손실 인식 가능성, 미국 공장신설에 따른 비용 상승 등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지표 하락 가능성
- 미국 온쇼어링 정책에 따른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과 이에 따른 한국내 일자리 감소, 중장기적으로 내수 기반 약화 예상
- IRA 정책 변화는 관련 업종에 부정적 영향이 클것으로 보임

- +3 02.22 1 남아공에서 강도당한 여행 유튜버
- +3 02.22 2 [기타] 여자가 30대 이후로 남자를 잘 못만나는 이유.jpg
- +2 02.22 3 현재 큰일 났다는 ADHD 환자들
- +2 02.22 4 서른살 중소기업 1년차 직장인 여성의 고민
- +2 02.22 5 30대 통풍 환자의 발상태 .jpg
- +2 02.22 6 현재 대한민국 내수경제 근황...jpg
- +2 02.22 7 85년에 입사, 근속 37년차 여직원분의 마지막 출근.jpg
- +1 02.22 8 설득력 있는 흙수저 판별법.jpg
- +1 02.22 9 말 걸 때마다 볼펜으로 찌르는 직장상사
- +1 02.22 10 길어도 너무 긴 퇴마록 영화 상영시간.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