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평가 '트럼프 당선시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8월 6일,한국신용평가에서 미국 대선 관련 보고서를 업데이트 했습니다.
한국신용평가 홈페이지 가면 풀버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보고서 간단 요약입니다


주요 정책 변화가 거시지표 및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1) 금리/환율 : FED 발 김준금리 인하 전망되나, 트럼프 발 금리상승 압력으로 불확실성 확대
2) 유가 : 친환경정책의 후퇴와 화석연료 공급 증가에 따라 중장기적 하향안정화 전망
3) 주요 정책 변화가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대중 관세부과 , 공급망 재편 : 중국발 과잉생산 => 제조업 수익성 하락 VS 공급망 재편의 수혜
-친환경 정책 후퇴: 관련 산업(2차전지,태양광 등) 에 부정적, 실제 정책 변화 폭은 모니터링 필요.
<주요 정책 변화가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요약>
-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위축 예상
-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 심화될수록 세계의 제조기지로서 중국의 역할은 지금보다 위축, => 이 과정에서 중국의 과잉 생산물량이 아시아 시장으로 저가 유입되면서 국내 제조업체의 저마진 구조 이어질 것으로 우려
- 국내 기업들의 탈중국,미국 집중화 현상 가속화 예상 => 생산기지 옮기는 과정에서 투자부담 확대, 공장 철수에 따른 비용 등 비경상적 손실 인식 가능성, 미국 공장신설에 따른 비용 상승 등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지표 하락 가능성
- 미국 온쇼어링 정책에 따른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과 이에 따른 한국내 일자리 감소, 중장기적으로 내수 기반 약화 예상
- IRA 정책 변화는 관련 업종에 부정적 영향이 클것으로 보임

- +14 02.15 1 민생지원금 25만원 잘 설명한 그림.jpg
- +7 02.17 2 [사회] 카페서 9개월 일하고 육아휴직 신청하자 "대기업이냐 XXX아" 쌍욕한 사장
- +6 02.17 3 3주후 내친구랑 결혼할 전문직 있어?
- +5 02.17 4 커밍아웃한 아내......jpg
- +5 02.16 5 이승환 : 조카 결혼식이 있어서 미국에 왔습니다.jpg
- +5 02.18 6 의사가 포경수술 권장하는 케이스 ㄷㄷ.jpg
- +5 02.15 7 키 158cm 남자의 현실
- +5 02.18 8 [속보] 미국 러시아 3단계 종전안 협의
- +4 02.17 9 디시에 등장한 미친 독서법
- +4 02.15 10 2030세대가 본 교사 내로남불 태세전환 ㄷ..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