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울산을 떠나고 있는 이유
사실 울산의 사례를 들었지만, 울산 뿐만이 아닌 지방 공업도시 전체의 문제라고 보면 될듯.
-------------------------------
1. 공장이 자동화되며 채용인원이 줄어들고 있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1911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27_1000x563.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8/17238604193496.jpeg)
대표적으로 현대차 생산직의 경우 매년 1600~1800여명 규모의 퇴직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신규채용 인원은 매년 1~200여명 수준, 그나마도 협력업체 직원의 전환고용이었다.
작년에 400명 가량을 신규채용한게 10년만의 첫 신규 생산직 공채였을 정도.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3869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4479_1000x563.png)
이유는 공장 자동화 때문. 생산직 특유의 강력한 정년보장 기조 때문에 기존에 있던 사람들을 해고하진 못하고 있으니 정년까지 기다릴수밖에 없는 것.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5074_1000x563.png)
조선소의 경우 최근 다시금 활기를 되찾고 있으나, 조선업 불황의 여파로 정규직 고용인원이 크게 줄어들고 계약직 위주의 채용을 하고 있는 상황. 결국 그 자리를 외노자들이 채우고 있는 형편.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5554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6061_1000x563.png)
왜냐고? 2000년대 이전과는 다르게 쿠팡이나 배달이라는 일자리가 새로 생겨난 상황이라 수많은 사람들이 '그돈씨 쿠팡이나 배달을 뛰지'라고 생각하고, 조선소 비정규직의 처우를 보면 그게 맞는 말이기 때문.
-----------------------------------
2. 더 이상 R&D 센터를 생산기지 바로 옆에 둘 필요가 없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6584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7358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7967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8698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199297_1000x563.png)
현대자동차의 경우 화성시 남양에 R&D 센터를 가지고 있고, HD현대(현대중공업)의 경우 노조의 극심한 반발을 뿌리쳐내면서까지 분당에 본사 겸 R&D 센터를 지었다. 이는 연구원들이 수도권 근무를 선호하기 때문.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0079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0631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1238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1824_1000x563.png)
과거에는 시제품 생산 등을 공장에서 해야 했기 때문에 R&D 센터를 공장 옆에 둘 필요가 있었으나, 이제는 현장에 있을 필요 없이 3D 디지털 도면 등으로 데이터를 완성할수 있고, 그러면서 이젠 공장이 데이터를 받아다 대량생산만 하는 단순 양산기지로써만의 역할만 하게 되었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2474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3211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3817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4428_1000x563.png)
당연히 기업 입장에서는 단순 양산기지로써의 역할만 하게 된 공장에 많은 정규직 인력을 쓸 필요가 없다. 그들은 만들어진 데이터대로 생산만 하는 단순 조립인력일 뿐이니까.
---------------------------------
3. 청년, 특히 여성이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4993_1000x563.png)
제조업 도시의 가장 큰 맹점, 바로 여성이 원하는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5564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6212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6723_1000x563.png)
과거에는 여성이 젊은 나이에 결혼하여 지역에 남았으나, 이제는 여성의 사회참여 욕구, 경제활동 참여 욕구가 늘어난 상태에서 울산과 같은 제조업 도시들은 젊은 여성들을 붙들어맬수 없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7394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7942_1000x563.pn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08/thumb-17238604208518_1000x563.png)
출산율이 높아봐야 청년, 특히 청년 여성들은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도시를 떠나며 남초현상은 극심해지고, 결혼을 해야 아이를 낳는 특성상 결국 지방의 출생아수도 줄어들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