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타 강사' 때문에 피 같은 수능 문제 1개를 틀렸습니다”
- • `빼박 증거`까지 박제된 상황
- • 수능 국어 25번 문제 해석 논란

수능시험을 마친 성광여고 학생이 엄마 품에 안겨 울고 있다. (수능날 당일 풍경을 담은 사진으로, 기사와는 관련 없습니다) / 뉴스1
수능 국어 25번 문제에 논란이 거세다.
지난 14일 끝난 수능 국어시험 25번은 고전 시가 '월선헌십육경가(신계영)' 중 "강호 어조(魚鳥)애 새 맹셰 깁퍼시니 옥당금마(玉堂金馬)의 몽혼(夢魂)이 섯긔엿다"라는 구절을 가장 적절하게 해석한 것을 고르는 문제다. 답은 1번(홀수형 기준)으로 "'강호'에서의 은거를 긍정하지만 정치 현실에 미련이 있음'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하 수능 국어시험 25번 지문과 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이의신청 게시판에는 해당 문제에 이의신청이 가장 많이 접수됐다. 더 큰 논란은 한 국어 강사와 관련돼 불거졌다. 이 강사는 국어 영역 '1타 강사'로 유명하다.
오르비 등 수험생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강사 A 씨가 수능 전 강의에서 수능 25번 문제와 같은 지문을 가르치면서 해당 구절을 '벼슬살이에 대한 생각이 희미해짐'이라고 해석했다"라는 말이 파다하다. "강사 믿었다가 1문제 날렸다. 억울하다"라는 반응이 넘쳐난다.
실제로 강사 A 씨는 강의 내용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생에게 "(해당 구절은) 벼슬살이에 미련이 있다기보다는 이에 대한 생각이 없어졌다고 이해하면 된다"라고 답변했다.

오르비 캡처
일부 수험생들은 "강사 해석도 완전히 틀린 건 아니다. 애초부터 수능 문제가 애매하게 출제됐다"라는 주장도 있다. 반면 "다양하게 해석될 소지가 있다는 말을 (강사가) 해줬어야 하는 거 아니냐"라는 반발도 있다.
출처 : https://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48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