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싸지, 개성 있지… 나는 얇은 집에서 산다

값싸지, 개성 있지… 나는 얇은 집에서 산다

1 8874 1 달빛시계

값싸지, 개성 있지… 나는 얇은 집에서 산다


밀레니얼 세대 중심 지구촌 ‘협소주택’ 열풍 

동아일보 
한양도성의 풍경이 아름다운 서울 종로구 창신동 10평 땅에 지은 5층집 ‘세로로’. 오른쪽 사진은 서울 서초구 잠원동 경부고속도로 완충녹지 옆에 지은 ‘얇디얇은 집’. 정면에서 보면 폭이 1.4m에 불과해 탑 같기도 하지만(위), 측면에서 봤을 때는 길이가 20m에 달해 흰색과 코르크색 등 두 가지  색채로 벽면을 마감했다(아래). 두 집 모두 집은 좁지만 커다란 창을 통해 주변의 숲과 마을 풍경을 볼 수 있는 탁 트인 전망을 갖고 있다. 변종석 사진작가·이한울 사진작가 제공 



서울 종로구 낙산공원에서 동대문으로 넘어가는 첫 동네. 한양도성의 고즈넉한 풍경과 숲이 어우러진 동네에 ‘세로로(SERORO)’라는 이름의 흰색 건물이 올봄에 들어섰다. 33m²(약 10평)에 불과한 땅에 5개 층을 위로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협소주택이다. 신혼부부인 최민욱 씨(39·스몰러건축 소장)와 정아영 씨(34·와인 강사)는 올해 3월 결혼하면서 이 집을 짓고 입주했다. 사무실이 대학로인 남편은 서울 성곽과 낙산공원을 넘어 걸어서 출퇴근한다.

이 집은 층마다 1개의 방이 블록처럼 수직으로 쌓여 있는 형태다. 1층은 필로티 주차장, 2층은 서재 겸 작업실, 3층은 주방과 거실, 4층은 침실, 5층은 옷방과 욕실로 구성돼 있다. 2, 3층은 주로 일하거나 식사하고, 손님을 맞는 공간이고, 4, 5층은 사생활 공간이다. 최 소장은 “낮과 밤 시간대의 동선을 철저히 고려해 설계함으로써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해야 할 일을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각 층의 방은 불과 16.5m²(약 5평) 규모. 그러나 실제로 보면 답답하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숲 방향으로 2개 면에 걸쳐 시원하게 뚫린 창문 때문. 창 밖의 숲에는 비가 내리고, 단풍이 들고, 눈이 내리고, 딱따구리와 족제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도로와 접한 2개 면은 프라이버시를 고려해 창문을 최대한 절제했다. 최 소장은 “이사 후 창 밖을 보며 마주보고 이야기하는 시간이 많아졌다”며 “서울로 귀농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가 협소주택을 짓기로 마음먹은 건 5년 전. 친구가 서울 강동구에서 4억 원에 오피스텔 전세도 구하기 힘들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다. 그는 아내와 “대출금에 치이느니 차라리 감당할 수 있는 작은 집을 짓자”고 의기투합했다. 이후 강남의 자투리땅, 강북의 산동네까지 다 뒤졌다. 드디어 대학로 사무실 인근 창신동에서 땅을 찾았다. 1930년대에 지어진 폐가였다. 지붕은 무너지고, 들고양이들의 아지트였던 이 땅을 3.3m²당 1000만 원씩 1억 원을 주고 샀다. 공사비 1억7000만 원으로 총비용은 2억7000만 원이 들었다. 서울에서 웬만한 전세도 얻기 힘든 돈이다.

그는 1년 동안 설계를 다듬으며 고심했다.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크기를 미리 정해 놓고 벽체를 설계했다. 단열재는 콘크리트 외부에 시공했다. “협소주택에서는 1∼2cm도 아쉬운데, 단열재를 외부에 시공하면 단열효과도 크고, 평균 10cm 정도의 공간이 더 커진다.”

그가 새 집을 짓기 시작하자 동네사람들은 환영했다. 보기 흉했던 폐가가 ‘귀여운’ 새 건물로 탄생하는 모습을 보고 따뜻한 응원을 보낸 것이다.

○ “세상에 나쁜 땅은 없다”… 얇디얇은 집

올해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한 서울 서초구 잠원동의 ‘얇디얇은 집’은 “집이란 어떤 공간에 어떤 형태를 띠어야 한다는 상식을 깬 곳”이라는 평가를 받은 곳이다. 입구 쪽 폭이 1.4∼2m에 불과한 땅에 지하 1층, 지상 4층짜리 건물을 지었다. 반면 측면의 길이는 20m에 이른다. 그야말로 책을 한 권 세워놓은 것처럼 얇고 길쭉한 집이다.

이 집은 영상 촬영과 편집을 하는 두 부부가 같이 산다. 1층과 지하는 작업실, 2층은 거실과 부엌, 3층은 침실과 자녀방, 4층에는 지붕 테라스와 옥탑방이 있다. 복도처럼 길쭉한 집 공간이 좁게 느껴지지 않도록 화장실 욕실을 빼고는 벽이나 문을 만들지 않았다. 원래 이곳은 경부고속도로 주변 완충녹지를 만들고 남은 서울시 땅이었다. 공공부지 매각을 통해 민간에 팔렸지만 여러 건축설계사무소에서도 집을 짓는 건 불가능하다고 손을 들었던 곳이다.

“서울에서 집 짓기 좋은 땅은 이미 집이 다 들어섰다고 보면 됩니다. 좁고 길거나, 도로변 삼각형 모양의 비정형적인 필지만 남았죠. 그러나 세상에 나쁜 땅은 없습니다. 땅의 컨디션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개성 넘치고 가치 있는 건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신민재 AnL스튜디오 소장)

○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작은 집의 혁명’ 
동아일보
홍콩에서 대형 콘크리트 수도관을 활용해 지은 ‘오포드 튜브하우스’. 약 2.8평 크기로, 여러 개를 쌓아올려 아파트 타운을 만들 수도 있다. 
제임스 로 사이버텍처 홈페이지 캡처 



1인 가구가 늘고 부동산 가격이 치솟으면서 주택담보대출에 시달리는 밀레니얼 세대들 사이에서 삶을 다운사이징하는 작은 집 열풍은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큰 것이 미덕’으로 여겨지던 미국에서도 타이니 하우스(협소주택)는 하나의 트렌드가 됐다. 인스타그램에서 핫한 협소주택 사진은 예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미니멀한 라이프스타일로 각광받는다. 미국에서는 2017년 타이니 하우스 판매량이 67%나 증가했다. 한 채의 평균 가격은 4만6300달러(약 5500만 원). 협소주택에 사는 이들의 68%는 주택담보대출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한다.

내 집 마련이 가장 어려운 도시로 알려진 홍콩에서는 대형 콘크리트 수도관으로 만든 협소주택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홍콩의 건축사무소 ‘제임스 로 사이버텍처’가 만든 ‘오포드 튜브 하우스(OPod Tube House)’. 지름 2.5m, 길이 2.6m짜리 수도관 2개를 연결해 지은 이 집의 내부 면적은 약 9.3m²(약 2.8평). 여러 개를 쌓아올려 아파트형 타운을 만들 수도 있으며, 빌딩 틈새나 다리 밑 같은 사각지대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한 채 건설 비용은 약 1700만 원, 월 47만 원에 임대한다.

넷플릭스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Tiny House Nation(도전! 협소주택)’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랜드 피아노는 꼭 있어야 해요” “큰 오븐이 필요해요”와 같은 출연자들의 요구를 실현시켜 주는 갖가지 아이디어가 펼쳐진다.

전승훈 문화전문기자 raphy@donga.com 







, ,

신고
SNS 공유하기


1 Comments
야봉  
집값 넘 비싸요

럭키 66 포인트!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