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광속 이동의 진실


실제론 250만 광년이 2.5광년이라는 소린가요
뭔소리지

Comment
6 Comments

Array
(
[0] => Array
(
[wr_id] => 1103857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3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a30824
[wr_password] => *9DB74A48B3C463AFF84BC9DF3CA5D0263DF2820F
[wr_name] => ISFP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5 15:40:55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3.39.232.23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130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ISFP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is_secret] =>
[date] => 1719297655
[datetime] => 24-06-25 15:40
[best] =>
[ip] => 223.♡.232.23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1] => Array
(
[wr_id] => 1103085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2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2
[wr_nogood] => 0
[mb_id] => naver_8ec9086f
[wr_password] => *B210E0EB42EEDE2EC86B8C365B09D0843AD9C22F
[wr_name] => Blue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9:10:49
[wr_file] => 0
[wr_last] =>
[wr_ip] => 118.235.4.166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34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2024-06-30 11:50:18.885593
[name] =>
Blue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is_secret] =>
[date] => 1719187849
[datetime] => 24-06-24 09:10
[best] => 1
[ip] => 118.♡.4.166
[is_reply] =>
[is_edit] =>
[is_del] =>
)
[2] => Array
(
[wr_id] => 1099713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16 18:30:28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is_secret] =>
[date] => 1718530228
[datetime] => 24-06-16 18:30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3] => Array
(
[wr_id] => 1103029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1
[wr_nogood] => 0
[mb_id] => naver_a0fe0a48
[wr_password] => *2048AEBCF9763AC75A03E8D234F999861E910282
[wr_name] => 수줍은댕댕이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1:50:50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2.101.220.150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4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수줍은댕댕이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수줍은댕댕이
[content1]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is_secret] =>
[date] => 1719240459
[datetime] => 24-06-24 23:47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5] => Array
(
[wr_id] => 1105842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97d908d5
[wr_password] => *634698367EADB87E7FB80C988459C49BCFDA74ED
[wr_name] => 글쎄……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9 17:49:17
[wr_file] => 0
[wr_last] =>
[wr_ip] => 198.44.211.145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92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글쎄……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Array
(
[0] => Array
(
[wr_id] => 1103857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3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a30824
[wr_password] => *9DB74A48B3C463AFF84BC9DF3CA5D0263DF2820F
[wr_name] => ISFP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5 15:40:55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3.39.232.23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130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ISFP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is_secret] =>
[date] => 1719297655
[datetime] => 24-06-25 15:40
[best] =>
[ip] => 223.♡.232.23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1] => Array
(
[wr_id] => 1103085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2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2
[wr_nogood] => 0
[mb_id] => naver_8ec9086f
[wr_password] => *B210E0EB42EEDE2EC86B8C365B09D0843AD9C22F
[wr_name] => Blue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9:10:49
[wr_file] => 0
[wr_last] =>
[wr_ip] => 118.235.4.166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34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2024-06-30 11:50:18.885593
[name] =>
Blue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is_secret] =>
[date] => 1719187849
[datetime] => 24-06-24 09:10
[best] => 1
[ip] => 118.♡.4.166
[is_reply] =>
[is_edit] =>
[is_del] =>
)
[2] => Array
(
[wr_id] => 1099713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16 18:30:28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is_secret] =>
[date] => 1718530228
[datetime] => 24-06-16 18:30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3] => Array
(
[wr_id] => 1103029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1
[wr_nogood] => 0
[mb_id] => naver_a0fe0a48
[wr_password] => *2048AEBCF9763AC75A03E8D234F999861E910282
[wr_name] => 수줍은댕댕이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1:50:50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2.101.220.150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4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수줍은댕댕이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수줍은댕댕이
[content1]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is_secret] =>
[date] => 1719240459
[datetime] => 24-06-24 23:47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5] => Array
(
[wr_id] => 1105842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97d908d5
[wr_password] => *634698367EADB87E7FB80C988459C49BCFDA74ED
[wr_name] => 글쎄……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9 17:49:17
[wr_file] => 0
[wr_last] =>
[wr_ip] => 198.44.211.145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92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글쎄……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Array
(
[0] => Array
(
[wr_id] => 1103857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3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a30824
[wr_password] => *9DB74A48B3C463AFF84BC9DF3CA5D0263DF2820F
[wr_name] => ISFP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5 15:40:55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3.39.232.23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130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ISFP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is_secret] =>
[date] => 1719297655
[datetime] => 24-06-25 15:40
[best] =>
[ip] => 223.♡.232.23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1] => Array
(
[wr_id] => 1103085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2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2
[wr_nogood] => 0
[mb_id] => naver_8ec9086f
[wr_password] => *B210E0EB42EEDE2EC86B8C365B09D0843AD9C22F
[wr_name] => Blue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9:10:49
[wr_file] => 0
[wr_last] =>
[wr_ip] => 118.235.4.166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34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2024-06-30 11:50:18.885593
[name] =>
Blue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is_secret] =>
[date] => 1719187849
[datetime] => 24-06-24 09:10
[best] => 1
[ip] => 118.♡.4.166
[is_reply] =>
[is_edit] =>
[is_del] =>
)
[2] => Array
(
[wr_id] => 1099713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16 18:30:28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is_secret] =>
[date] => 1718530228
[datetime] => 24-06-16 18:30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3] => Array
(
[wr_id] => 1103029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1
[wr_nogood] => 0
[mb_id] => naver_a0fe0a48
[wr_password] => *2048AEBCF9763AC75A03E8D234F999861E910282
[wr_name] => 수줍은댕댕이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1:50:50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2.101.220.150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4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수줍은댕댕이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수줍은댕댕이
[content1]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is_secret] =>
[date] => 1719240459
[datetime] => 24-06-24 23:47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5] => Array
(
[wr_id] => 1105842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97d908d5
[wr_password] => *634698367EADB87E7FB80C988459C49BCFDA74ED
[wr_name] => 글쎄……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9 17:49:17
[wr_file] => 0
[wr_last] =>
[wr_ip] => 198.44.211.145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92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글쎄……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Array
(
[0] => Array
(
[wr_id] => 1103857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3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a30824
[wr_password] => *9DB74A48B3C463AFF84BC9DF3CA5D0263DF2820F
[wr_name] => ISFP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5 15:40:55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3.39.232.23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130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ISFP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is_secret] =>
[date] => 1719297655
[datetime] => 24-06-25 15:40
[best] =>
[ip] => 223.♡.232.23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1] => Array
(
[wr_id] => 1103085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2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2
[wr_nogood] => 0
[mb_id] => naver_8ec9086f
[wr_password] => *B210E0EB42EEDE2EC86B8C365B09D0843AD9C22F
[wr_name] => Blue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9:10:49
[wr_file] => 0
[wr_last] =>
[wr_ip] => 118.235.4.166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34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2024-06-30 11:50:18.885593
[name] =>
Blue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is_secret] =>
[date] => 1719187849
[datetime] => 24-06-24 09:10
[best] => 1
[ip] => 118.♡.4.166
[is_reply] =>
[is_edit] =>
[is_del] =>
)
[2] => Array
(
[wr_id] => 1099713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16 18:30:28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is_secret] =>
[date] => 1718530228
[datetime] => 24-06-16 18:30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3] => Array
(
[wr_id] => 1103029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1
[wr_nogood] => 0
[mb_id] => naver_a0fe0a48
[wr_password] => *2048AEBCF9763AC75A03E8D234F999861E910282
[wr_name] => 수줍은댕댕이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1:50:50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2.101.220.150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4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수줍은댕댕이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수줍은댕댕이
[content1]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is_secret] =>
[date] => 1719240459
[datetime] => 24-06-24 23:47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5] => Array
(
[wr_id] => 1105842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97d908d5
[wr_password] => *634698367EADB87E7FB80C988459C49BCFDA74ED
[wr_name] => 글쎄……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9 17:49:17
[wr_file] => 0
[wr_last] =>
[wr_ip] => 198.44.211.145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92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글쎄……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gom]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Array
(
[0] => Array
(
[wr_id] => 1103857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3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a30824
[wr_password] => *9DB74A48B3C463AFF84BC9DF3CA5D0263DF2820F
[wr_name] => ISFP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5 15:40:55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3.39.232.23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130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ISFP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is_secret] =>
[date] => 1719297655
[datetime] => 24-06-25 15:40
[best] =>
[ip] => 223.♡.232.23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1] => Array
(
[wr_id] => 1103085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2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2
[wr_nogood] => 0
[mb_id] => naver_8ec9086f
[wr_password] => *B210E0EB42EEDE2EC86B8C365B09D0843AD9C22F
[wr_name] => Blue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9:10:49
[wr_file] => 0
[wr_last] =>
[wr_ip] => 118.235.4.166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34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2024-06-30 11:50:18.885593
[name] =>
Blue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is_secret] =>
[date] => 1719187849
[datetime] => 24-06-24 09:10
[best] => 1
[ip] => 118.♡.4.166
[is_reply] =>
[is_edit] =>
[is_del] =>
)
[2] => Array
(
[wr_id] => 1099713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16 18:30:28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is_secret] =>
[date] => 1718530228
[datetime] => 24-06-16 18:30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3] => Array
(
[wr_id] => 1103029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1
[wr_nogood] => 0
[mb_id] => naver_a0fe0a48
[wr_password] => *2048AEBCF9763AC75A03E8D234F999861E910282
[wr_name] => 수줍은댕댕이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1:50:50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2.101.220.150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4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수줍은댕댕이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수줍은댕댕이
[content1]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is_secret] =>
[date] => 1719240459
[datetime] => 24-06-24 23:47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5] => Array
(
[wr_id] => 1105842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97d908d5
[wr_password] => *634698367EADB87E7FB80C988459C49BCFDA74ED
[wr_name] => 글쎄……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9 17:49:17
[wr_file] => 0
[wr_last] =>
[wr_ip] => 198.44.211.145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92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글쎄……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Array
(
[0] => Array
(
[wr_id] => 1103857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3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a30824
[wr_password] => *9DB74A48B3C463AFF84BC9DF3CA5D0263DF2820F
[wr_name] => ISFP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5 15:40:55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3.39.232.23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130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ISFP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content] => 가는데 왕복 5년인데 지구 돌아오면 500만년 후라니... 갔다 오면 전혀 다른 지구가 기다릴 수도 있겠네요.
[is_secret] =>
[date] => 1719297655
[datetime] => 24-06-25 15:40
[best] =>
[ip] => 223.♡.232.23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1] => Array
(
[wr_id] => 1103085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2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2
[wr_nogood] => 0
[mb_id] => naver_8ec9086f
[wr_password] => *B210E0EB42EEDE2EC86B8C365B09D0843AD9C22F
[wr_name] => Blue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9:10:49
[wr_file] => 0
[wr_last] =>
[wr_ip] => 118.235.4.166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34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2024-06-30 11:50:18.885593
[name] =>
Blue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content] => 상대성이론이에요. 지구에 있는 관찰자 기준으로 100광년(10^15 km) 거리가, 우주선에 있는 관찰자는 속력(지구관찰자 기준 상대속력)이 빨라질수록 1광년 거리로 줄어들면서 1년만에 도착. 하지만 지구 관찰자가 보기엔 100년 걸려서 도착한걸로 보임. 상대성이론이 말하는게 절대시공간 기준이 없고 각자의 시간, 공간이 다르다는 거에요.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같고요.
[is_secret] =>
[date] => 1719187849
[datetime] => 24-06-24 09:10
[best] => 1
[ip] => 118.♡.4.166
[is_reply] =>
[is_edit] =>
[is_del] =>
)
[2] => Array
(
[wr_id] => 1099713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16 18:30:28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as_re_name] =>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1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content1]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content] => 광속이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 아닌가??
[is_secret] =>
[date] => 1718530228
[datetime] => 24-06-16 18:30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3] => Array
(
[wr_id] => 1103029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1
[wr_nogood] => 0
[mb_id] => naver_a0fe0a48
[wr_password] => *2048AEBCF9763AC75A03E8D234F999861E910282
[wr_name] => 수줍은댕댕이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01:50:50
[wr_file] => 0
[wr_last] =>
[wr_ip] => 222.101.220.150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4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수줍은댕댕이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content] => 저 설명에서 얘기하기론 빛의 속도로 가면 거리가 수축해서 몇년 만에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까지 갈 수 있는데, 대신 도착한 곳의 시간은 250만년 후라고 하더라구요..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gom
[is_lock] =>
[reply_name] => 수줍은댕댕이
[content1]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is_secret] =>
[date] => 1719240459
[datetime] => 24-06-24 23:47
[best] =>
[ip] => 49.♡.224.249
[is_reply] =>
[is_edit] =>
[is_del] =>
)
[5] => Array
(
[wr_id] => 1105842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97d908d5
[wr_password] => *634698367EADB87E7FB80C988459C49BCFDA74ED
[wr_name] => 글쎄……
[wr_email] =>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9 17:49:17
[wr_file] => 0
[wr_last] =>
[wr_ip] => 198.44.211.145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92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89d6087b
[as_re_name] => gom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글쎄……
[is_lock] =>
[reply_name] => gom
[content1]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content] => 광속은 그냥 진공에서 빛의(광) 속도(속)이고. 광년이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임.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또 같은 맥락으로 얘기한 게 우주에서 만들어지자마자 거의 동시에 사라지는 '뮤온'이라는 입자가 분명 거리상 지구에 올 수 없는데, (지구에 오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입자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빨라서)
실제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해서 관측이 된다고..
그러니 거리가 수축해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이동에 걸린 시간이 더 짧다는 증거라고 하던데..
사실 설명을 들어도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게 거리가 수축했다고 볼 수 있는 건지, 그냥 빠르게 이동하는 물질의 시간이 더 느리게 가기 때문은 아닌지, 그 둘의 차이가 뭔지.. 참.. [is_secret] => [date] => 1719161450 [datetime] => 24-06-24 01:50 [best] => [ip] => 222.♡.220.150 [is_reply] => [is_edit] => [is_del] => ) [4] => Array ( [wr_id] => 1103498 [wr_num] => -303018 [wr_reply] => [wr_parent] => 1099708 [wr_is_comment] => 1 [wr_comment] => 1 [wr_comment_reply] => ZZ [ca_name] => [wr_option] => [wr_subject] => [wr_content] => 답변 감사하지만 뭔소리인지(답변자님께 하는 말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광속이 빛이 1년동안 가는 속도인데 250만 광년을 몇 년안에 간다면 왜 250만 광년이라고 밀하는지 모르겠음. [wr_link1] => [wr_link2] => [wr_link1_hit] => 0 [wr_link2_hit] => 0 [wr_hit] => 0 [wr_good] => 0 [wr_nogood] => 0 [mb_id] => naver_89d6087b [wr_password] => *21431D458A1C91EC96C09E3D6D74FFDDA56635B5 [wr_name] => gom [wr_email] => gompani@hotmail.com [wr_homepage] => [wr_datetime] => 2024-06-24 23:47:39 [wr_file] => 0 [wr_last] => [wr_ip] => 49.171.224.249 [wr_facebook_user] => [wr_twitter_user] => [articleid] => [wr_1] => 0 [wr_2] => [wr_3] => [wr_4] => [wr_5] => [wr_6] => [wr_7] => [wr_8] => [wr_9] => [wr_10] => [as_type] => 0 [as_shingo] => 0 [as_img] => 0 [as_list] => 0 [as_publish] => 0 [as_extra] => 0 [as_extend] => 0 [as_level] => 83 [as_download] => 0 [as_down] => 0 [as_view] => 0 [as_lucky] => 0 [as_poll] => 0 [as_star_score] => 0 [as_choice] => 0 [as_choice_cnt] => 0 [as_re_mb] => naver_a0fe0a48 [as_re_name] => 수줍은댕댕이 [as_tag] => [as_map] => [as_icon] => [as_thumb] => [as_video] => [as_update] => [as_star_cnt] => 0 [ast_read] => 0 [ast_adlist_edate] => 0 [ast_adtop_edate] => 0 [ast_extend] => a:3:{s:14:"as_star_score1";i:0;s:14:"as_star_score2";i:0;s:14:"as_star_score3";i:0;} [ast_ultra_extend] => [wr_besttime] => [name] =>


광속에 가깝게 이동하는 존재에겐 시간이 느리게 흐름. 그래서 그 존재에겐 몇 년정도 이동했다고 느껴져도 그 밖의 시간은 몇 백만년 흘러버림. 즉 각 물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름. 특수 상대성이론의 핵심 결론임. 물론 일상적인 속도에선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하고, 광속에 비교할 만 한 속도에서 의미가 있음. [is_secret] => [date] => 1719650957 [datetime] => 24-06-29 17:49 [best] => [ip] => 198.♡.211.145 [is_reply] => [is_edit] => [is_del] => ) )
/var/www/issuya.com/skin/board/issuya/view/tto_basic
지금 뜨고있는 이슈
8
9315
2
5915
6
5617
3
4949
0
2959
3
2791
2
2787
1
2244
1
2137
0
1830
1
1756
1
1649
0
1607
0
1392
0
1291
0
1161
4
1069
1
795
0
607
Today
pick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hit
[rank] => black
[term] => day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 +2 1 동양인은 못 먹는 미국식 치킨 도시락
- +1 2 김종국이랑 친한데 결혼식 초대 못받은 배우 고창석
- +4 3 변태력이 넘쳐 흐르는 성진국의 메이드 카페 츤데레 체험
- 4 강민경한테 명품 선물 통수맞은 이해리
- +2 5 공장 알바하면서 외노자들에 대한 편견이 깨졌던 거
- +2 6 일본 예능) 폭죽터지기 전에 빠르게 뛰어가서 물로 끄기
- +1 7 한국 사람들이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 +2 8 화상채팅 중 엄청난 몸매를 자랑하는 남자
- 9 가수가 도망가서 작곡가가 데뷔해서 부른 노래
- +3 10 라노벨 주인공이 실존했다고 믿었던 기독교인들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date] => 1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black
[sort] => comment
[rank] => black
[term] => week
[dayterm] => 2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 +5 10.18 1 여자가 말하는 잘생긴 남자 세 유형
- +4 10.18 2 혐주의) 동네 길거리 난투극
- +4 10.18 3 현직 공무원이 말하는 공공조직이 망해가는 근본적 이유
- +4 10.18 4 친구 부부가 게임기 빌려달라는데
- +4 10.19 5 변태력이 넘쳐 흐르는 성진국의 메이드 카페 츤데레 체험
- +3 10.18 6 홍콩에서 비키니 여성에게 사진 요청하는 중국 관광객들
- +3 10.19 7 [주의] 충격적인 공중화장실 중국 여성 납치 장면
- +3 10.20 8 스위스 그린델발트 거리뷰 ㄷㄷ
- +3 10.18 9 대만 한국 이중국적자 남성의 슬픔
- +3 10.18 10 제주도 고기집 비계 이슈
Array
(
[icon] =>
[strong] =>
[modal] =>
[dtype] =>
[rows] => 10
[page] => 1
[comment] =>
[main] => 1
[bo_list] => issue
[gr_list] =>
[ca_list] =>
[newtime] =>
[new] => color
[sort] =>
[rank] => darkred
[term] =>
[dayterm] => 3
[mb_list] =>
[cache] => 0
[modal_js] =>
)
1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