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급 금속활자 발견
>










조선 한양도성 중심부였던 서울 인사동에서 과학기술의 황금기인 세종 때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됐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발굴된 한글 금속활자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인 15세기 중반 활자가 나왔습니다.


서울 종로구 인사동 79번지 일대 유적에서 조선 세종 때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됐습니다.

항아리에 담긴 금속활자 가운데 이제까지 발굴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가 나왔습니다.
15세기 중반 훈민정음 창제 시기에 사용되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활자입니다.

또 1434년 세종 때 만들어진 갑인자로 추정되는 한자 금속활자도 처음 출토됐습니다.
1450년경인 구텐베르크의 인쇄 시기 보다 앞선 시기 제작된 갑인자는
아름답고 균형이 잘 잡혀 금속활자의 정수로 꼽힙니다.


유적에서는 또 조선 전기 자동 물시계의 금속 파편이 처음 나왔습니다.
세종 때 만든 옥루, 혹은 중종 때 다시 제작된 자격루에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세종 때 만든 독자적 주·야간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의 파편도 처음 출토됐습니다.
유물들은 함께 발굴된 총통에 새겨진 제작 연도로 미뤄 선조 때인 1588년 이후 묻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정한 크기의 파편으로 잘린 것으로 미뤄 녹여서 재활용하기 위해 묻어 놓은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