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급 금속활자 발견
>![](//issuya.com/data/editor/2107/16251507424746.jpg)
![](//issuya.com/data/editor/2107/02_2.jpg)
![](//issuya.com/data/editor/2107/03_2.jpg)
![](//issuya.com/data/editor/2107/04_2.jpg)
![](//issuya.com/data/editor/2107/08_1.jpg)
![](//issuya.com/data/editor/2107/09_1.jpg)
![](//issuya.com/data/editor/2107/10_1.jpg)
![](//issuya.com/data/editor/2107/12_1.jpg)
![](//issuya.com/data/editor/2107/13_1.jpg)
![](//issuya.com/data/editor/2107/14_1.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16251507424746.jpg)
조선 한양도성 중심부였던 서울 인사동에서 과학기술의 황금기인 세종 때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됐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발굴된 한글 금속활자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인 15세기 중반 활자가 나왔습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2_2.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03_2.jpg)
서울 종로구 인사동 79번지 일대 유적에서 조선 세종 때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됐습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4_2.jpg)
항아리에 담긴 금속활자 가운데 이제까지 발굴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가 나왔습니다.
15세기 중반 훈민정음 창제 시기에 사용되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활자입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8_1.jpg)
또 1434년 세종 때 만들어진 갑인자로 추정되는 한자 금속활자도 처음 출토됐습니다.
1450년경인 구텐베르크의 인쇄 시기 보다 앞선 시기 제작된 갑인자는
아름답고 균형이 잘 잡혀 금속활자의 정수로 꼽힙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9_1.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10_1.jpg)
유적에서는 또 조선 전기 자동 물시계의 금속 파편이 처음 나왔습니다.
세종 때 만든 옥루, 혹은 중종 때 다시 제작된 자격루에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12_1.jpg)
세종 때 만든 독자적 주·야간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의 파편도 처음 출토됐습니다.
유물들은 함께 발굴된 총통에 새겨진 제작 연도로 미뤄 선조 때인 1588년 이후 묻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13_1.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14_1.jpg)
일정한 크기의 파편으로 잘린 것으로 미뤄 녹여서 재활용하기 위해 묻어 놓은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