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음대 교수 채용 시험
![](http://issuya.com/data/editor/2107/02_10.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03_9.jpg)
최근 신임 교수를 채용한 경북대 국악학과, 채용 전형이
특정 지원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했다는 의혹이 학과 안팎에서 제기됐습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4_9.jpg)
현재 경북대 국악학과엔 가야금과 해금,피리 교수만 있는 상황,
![](http://issuya.com/data/editor/2107/05_9.jpg)
전공별 학생 비율에 따라 전공 교수가 하나도 없는 분야를 채용해야 했지만, 또다시 가야금 교수를 뽑은 겁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6_8.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07_6.jpg)
실기연주 심사 기준도 의혹을 더하고 있습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08_6.jpg)
같은 기간 채용이 진행된 부산대와 전남대는 후보마다 30분 분량의 자유곡을 연주하도록 한 반면,
![](http://issuya.com/data/editor/2107/09_6.jpg)
경북대는 3시간 분량의 곡과 연주 범위를 지정했는데,
![](http://issuya.com/data/editor/2107/10_8.jpg)
공교롭게도 채용된 이가 공채 직전 연주회에서 연주한 곡,범위와 유사했습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11_7.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12_5.jpg)
객관적인 지표인 수상 경력도 경북대 출신 지원자가 탈락한 두 후보에 비해 떨어진다는 논란도 제기됐습니다.
![](http://issuya.com/data/editor/2107/13_6.jpg)
특히 지원자가 현직 교수와 오랜 기간 같은 단체에서 활동해왔다는 점에서 의혹이 커지는 상황.
![](http://issuya.com/data/editor/2107/14_4.jpg)
![](http://issuya.com/data/editor/2107/15_3.jpg)
이에 대해 경북대 국악학과는 가야금 전공 학생 비율이 가장 높아 가야금 쪽 교수를 뽑았고,
실기 연주곡 범위도 객관적 평가를 위해 일괄 지정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학과 구성원과 지역 국악계에서도 채용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교수 채용비리 의혹은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