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동아시아 3국의 군사력

※ 당시 명나라의 실질 동원력은 저렇다고 한다.
(장부상으로는 300만 대군 동원도 가능했다는데...)
임진왜란 때는 5만 , 정유재란때는 10만 이상의 전투병을 파병
: 1592-1598년 동안 도합 15만 이상의 대군을 파병
※ 왜란 초기만 하더라도 조선은 기록상 관군과 의병을 합쳐 17만 이상이 동원 가능했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며 정유재란 당시 육상의 주요 전투는 명나라의 도움이 절실했다고...
(당시 조선 육군은 총 3만명대 규모로 파악된다...)
※ 사실 왜란 발발 이전에도 조선군의 총 전함(판옥선)은 200척 가까이 있었다.
왜란 초기부터 전선들을 자침시킨 경상 좌·우도의 멋진 함대사령관들이 계셨을 뿐...
충무공... 이 트롤러들을 데리고 어떻게...
※ 이순신 휘하의 전투중 전함손실 기록은 아무리 찾아도 볼 수 없었다.
뭐 수리가 필요한 정도의 파손 or 전복된 소형 탐망선은 있어도...
※ 일본 수군 전선에서 아다케부네(안택선)가 실제로 저렇게 많은 게 아니다.
어디까지나 일본의 주력전선은 세키부네다. 저 표기는 작성자가 임의대로 만들었을 뿐이다.
아다케부네는 판옥선과 비슷하거나 약간 큰 정도의 크기(그러나 내구도는...)
※ 명의 대형전선인 사선은 세키부네보다 조금 더 큰 정도의 평저선이다.(약 80여 명 탑승)
또다른 전선인 호선은 10~20명이 탑승한 조그마한 첨저선이다.
※ 병종 비율도 실제로 저렇지 않다. 작성자가 그냥 임의대로 만들었을 뿐
※ 임진왜란-정유재란의 7년 간 전력손실과 보충을 고려한 총인원 기준이다.

- +3 02.22 1 [기타] 여자가 30대 이후로 남자를 잘 못만나는 이유.jpg
- +2 02.22 2 현재 큰일 났다는 ADHD 환자들
- +2 02.22 3 85년에 입사, 근속 37년차 여직원분의 마지막 출근.jpg
- +1 02.22 4 설득력 있는 흙수저 판별법.jpg
- +1 02.22 5 말 걸 때마다 볼펜으로 찌르는 직장상사
- +1 02.22 6 길어도 너무 긴 퇴마록 영화 상영시간.jpg
- +1 02.22 7 틈새라면의 역사
- +1 02.22 8 호불호 갈리는 한국화된 디저트 류
- +1 02.22 9 여초) 난리난 8억 해준다는 시댁 조건 10가지 ㄷ..jpg
- +1 02.22 10 제일 불쌍한 골목식당 출연자.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