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동아시아 3국의 군사력
※ 당시 명나라의 실질 동원력은 저렇다고 한다.
(장부상으로는 300만 대군 동원도 가능했다는데...)
임진왜란 때는 5만 , 정유재란때는 10만 이상의 전투병을 파병
: 1592-1598년 동안 도합 15만 이상의 대군을 파병
※ 왜란 초기만 하더라도 조선은 기록상 관군과 의병을 합쳐 17만 이상이 동원 가능했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며 정유재란 당시 육상의 주요 전투는 명나라의 도움이 절실했다고...
(당시 조선 육군은 총 3만명대 규모로 파악된다...)
※ 사실 왜란 발발 이전에도 조선군의 총 전함(판옥선)은 200척 가까이 있었다.
왜란 초기부터 전선들을 자침시킨 경상 좌·우도의 멋진 함대사령관들이 계셨을 뿐...
충무공... 이 트롤러들을 데리고 어떻게...
※ 이순신 휘하의 전투중 전함손실 기록은 아무리 찾아도 볼 수 없었다.
뭐 수리가 필요한 정도의 파손 or 전복된 소형 탐망선은 있어도...
※ 일본 수군 전선에서 아다케부네(안택선)가 실제로 저렇게 많은 게 아니다.
어디까지나 일본의 주력전선은 세키부네다. 저 표기는 작성자가 임의대로 만들었을 뿐이다.
아다케부네는 판옥선과 비슷하거나 약간 큰 정도의 크기(그러나 내구도는...)
※ 명의 대형전선인 사선은 세키부네보다 조금 더 큰 정도의 평저선이다.(약 80여 명 탑승)
또다른 전선인 호선은 10~20명이 탑승한 조그마한 첨저선이다.
※ 병종 비율도 실제로 저렇지 않다. 작성자가 그냥 임의대로 만들었을 뿐
※ 임진왜란-정유재란의 7년 간 전력손실과 보충을 고려한 총인원 기준이다.
- +5 02.01 1 "서울 봤으면 다시 올 필요 없죠"...결국 일본에 완패한 한국
- +4 02.01 2 옛날 금수저들이 자랑스럽게 했던 말
- +3 02.01 3 호불호 몸매 취향
- +3 02.01 4 구석기 신석기 원시인 새끼들은 한게 머임??.jpg
- +3 02.01 5 레전드 소개남
- +2 02.01 6 회사에서 있었던 일인데 너무 기분 나쁘네요
- +2 02.02 7 치파오 입은 이다혜 치어리더
- +2 02.01 8 오뎅을 초장에 찍어먹는 사람들
- +2 02.01 9 학생수 줄어도 오히려 증가한 사교육비
- +2 02.01 10 스웨덴 : 이민자들 돈 줄테니 나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