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할리우드 배우 출연료 순위 및 금액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 영화 : 돈트 룩업 (2021 넷플릭스 개봉 예정)
출연료 : 약 3000만 달러 = 한화 351억
공동 3위
덴젤 워싱턴 / 영화 : The Little Things (2021 1월 북미 극장 개봉)
출연료 : 약 4000만 달러 = 한화 468억
공동 3위
윌 스미스 / 영화 : 킹 리차드 (2021년 극장 개봉 예정)
출연료 : 약 4000만 달러 = 한화 468억
(맨인블랙3에서 기본출연료+흥행 보너스까지 1억 달러를 받았다고 함)
2위
드웨인 존슨 / 영화 : 레드 원 (아마존 스튜디오 개봉 예정)
출연료 : 약 5000만 달러 = 한화 585억
1위
다니엘 크레이그 / 영화 : 나이브스 아웃 시퀄 (넷플릭스 개봉 예정)
출연료 : 약 1억 달러 = 한화 1170억
007시리즈 카지노 로얄(2006년)때는 한회 약 320억 원을 받았다고 함
논외로 넷플릭스가 나이브스 아웃 시퀄 2, 3편 판권을 4억 5천만 달러(= 한화 5,265억)에 구매해 역대 판권 거래금액으로는 최대라고 함.
(1편에 4천만 달러 제작비를 투자해 3억 1천 달러로 약 7~8배 정도의 수익을 거뒀다고 함.)
아마 다니엘 크레이그 출연료도 2, 3편을 합친 금액으로 추정됨.
TMI
1, 2, 5위가 스트리밍 회사인 넷플과 아마존 제작이고, 공동 3위는 극장 개봉 영화인데,
기사에 따르면 대략적으로 출연료가 극장 영화와 스트리밍용(넷플릭스. 아마존) 영화일때 출연료 책정 방식이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함
(물론 같은 스트리밍 영화라도 영화나 배우마다 세부적으로 다를 수도 있음)
본래 극장 개봉 영화의 경우 "기본 출연료 + 흥행 수익의 일정 %"로
박스오피스 성적이 좋으면 흥행 보너스로 기본 출연료 보다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는 구조고,
스트리밍 영화의 경우 선지급으로 기본 출연료만을 지급한다고 해서
상대적으로 극장개봉영화의 기본 출연료 보다 높게 책정된다고 볼 수 있음.
물론 배우나 영화의 흥행 여부 등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함
- +5 02.01 1 "서울 봤으면 다시 올 필요 없죠"...결국 일본에 완패한 한국
- +4 02.01 2 레전드 소개남
- +4 02.01 3 옛날 금수저들이 자랑스럽게 했던 말
- +3 02.01 4 호불호 몸매 취향
- +3 02.01 5 구석기 신석기 원시인 새끼들은 한게 머임??.jpg
- +3 02.01 6 엽기적인그녀 타입캡슐 묻은장소 근황
- +2 02.01 7 스페인 바르셀로나 건축물
- +2 02.02 8 디시에서 난리났다는 일본 여행 꿀팁
- +2 02.01 9 남자 지갑 계급도.jpg
- +2 02.01 10 회사에서 있었던 일인데 너무 기분 나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