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너무 좋아했던 한 신하의 이야기
김조순(金祖淳). 1765년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안동이다.
세도정치로 유명한 그 안동 김씨 맞다.
김조순은 소설을 좋아하기로 유명했다.
단순히 읽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고
<오대검협전>이라는 소설을 쓰기도 했다.
제목 보면 알겠지만 무협소설이다.
암튼 김조순은 엄청난 소설광이었는데,
이 소설 때문에 한 번 뒤질 뻔했던 적이 있었다.
김조순이 스물셋이었던 시절이다.

(근무 중) 준내 심심하네

(후배) 글게 말임다

<평산냉연> ㄱ?

다 태웠나? 그럼 이제

올 게 왔구나ㅅㅂ

반성문 써와

엫
정조는 김조순을 곤장을 치거나 죽이지는 않았고 반성문을 써올 것을 명했다.

다 썼습니다
어디 보자
.
.
.
.
.
.
야

뭐지 이번엔 진짜 죽는건가) 예 전하
딴 놈들은 변명하기 바쁘고 입 발린 소리만 하는데 넌 그런게 없네
이 함답을 보니 문체가 바르고 우아하고 뜻이 풍부해 무한한 함축미가 있다. 촛불을 밝혀 읽고 또 읽고 밤 깊은 줄도 모르게 무릎을 치곤 했다. 저 부들부들하다 못해 도리어 옹졸해진 남공철의 대답이나 경박하게 듣기 좋게만 꾸민 이상황의 말, 뻣뻣해 알기 어려운 심상규의 공초는 모두가 입술에 발린, 억지로 자기변명을 위한 소리들이지만, 이 사람만은 할 것은 한다, 못 할 것은 못 한다고 해 결코 스스로를 속이거나 나를 속이려 함이 없음을 알겠다. 이 판부는 파발마를 보내 그에게 알려 그로 하여금 마음 놓고 먼 길을 잘 다녀오게 하라.
[정조실록, 정조16년 11월 8일]
정조는 김조순의 문장을 아주 칭찬했고 따로 김조순을 불러 하대해줬다.
역시 사람은 필력이 좋아야 산다.
글을 잘쓰는 능력은 현대에서도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중요하다. 이상
0 Comments
Today
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