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 달라는 식당 논란

팁 달라는 식당 논란


지난 3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팁 달라는 식당도 있군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이런 경우 종종 있나요? 사람들 반응이 어떨지"라며 한 장의 사진을 첨부했다. 사진은 식당의 테이블 위에 놓인 안내문을 촬영한 것이다.

안내문에는 "(식사 손님 제외) 서빙 직원이 친절히 응대 드렸다면 테이블당 5000원~ 정도의 팁을 부탁드린다"고 적혀 있다. 그 아래에는 작은 글씨로 "주고 안 주고는 손님 선택이며 의무사항이 아니다. 좋은 마음으로 이해 부탁드린다"고 안내돼 있다.

식당은 의무사항이 아니라고 하지만 사진을 본 누리꾼들은 불쾌감을 표시했다. 이들은 "다신 안 간다. 저렇게 받으면 보통의 직장인x2로 벌 듯" "더 주기 싫어진다" "여기서 아르바이트하고 싶다. 하루 20테이블만 받으면 팁만 10만 원이네" "이 정도면 부담된다. 난 안 갈 거 같다" 등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친절히 응대하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 맛있게 먹으면 깎아줄 건가"라고 썼고 이에 많은 누리꾼이 공감을 표했다.

팁이란 말 그대로 자신이 받은 서비스에 대한 대가라고 할 수 있다. 이 문화는 국가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나 보통 레스토랑이나 카페는 음식값의 10~15%를 팁으로 낸다.

팁 문화가 없는 국내는 과거 일부 일반음식점이나 커피전문점의 메뉴판에 '봉사료 10% 별도' 등을 표기해 비용을 강제했었다. 하지만 지난 2013년부터 시행된 식품취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라 이같은 표시를 없애고 소비자가 실제로 내야 하는 최종 가격만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http://naver.me/F2wnVULh


신고
SNS 공유하기

  Comment

BEST 1 야봉  
문구가 거슬리긴 하지만
외국에선 팁이 문화라서 일부러 소액 환전도
해가면서 준비하는데..기분 나쁘게 생각한적 없잖아요..
저 식당이 유명식당인가요?
교촌처럼 총대 매고 문화로 자리 잡기 위한 첫발일까요..
혼란하네요


8 Comments
또띠  
사장니가 식대에서 얼마빼서 줘라
야봉  
문구가 거슬리긴 하지만
외국에선 팁이 문화라서 일부러 소액 환전도
해가면서 준비하는데..기분 나쁘게 생각한적 없잖아요..
저 식당이 유명식당인가요?
교촌처럼 총대 매고 문화로 자리 잡기 위한 첫발일까요..
혼란하네요

럭키 26 포인트!

유우  
음 대충 식당갈 때 예산이 있는데 당황스러울듯
깡총  
우리나라에선 생소하지
페인  
기본급(=최하 최저임금 받는 우리나라와 따로 점장이랑 팁 관련 ...근로계약하는 외국이랑 많이 다른대...그걸 모르고....난 안갈듯
르미  
팁은 손님이 만족을 하면 드리는겁니다...구걸이 아니에요
미돌  
팁을 무슨 수금하듯이 하나?
마델  
식당직원이 너무친절하구 활발해서 준적있는데 다시가서 음료수서비스라구 주던데 그마음도 너무이쁨ㅋㅋ 나같으면 저렇게 대놓고 써놓으면 싫을듯..


Today
pick
basic-post-list issue-basic-post-list-pick
제목
+

새글알림

지금 뜨고있는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