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규가 10년넘게 진행한 프로젝트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76348.png)
아마 2010년대 이후
한석규를 기억하는 분들이라면
뿌리 깊은 나무나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 등
드라마에서 활약상을 주로 떠올릴 것임
(물론 그 기간 영화도 꾸준히 찍으시긴 했지만)
아무래도 드라마판 성적이 유독 두드러지다 보니 그럼
오죽하면 2010년대 SBS 드라마를 말할 때
한석규란 존재는 꼭 들어간단 말도 있을 정도니까
90년대 중후반
충무로 섭외 1순위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76938.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77358.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77789.png)
하지만 90년대 중후반 영화판에서
한석규의 입지는 압도적이였던 걸로 평가됨
그도 그런 것이 80년대나 90년대 초반까지
국내 시장에서 할리우드에 눌려있던 한국 영화가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펴고 재도약한 시기 주역이기도 하고
원탑으로 전체 판 자체를 끌고 갔다고 함
당시 충무로 시나리오의 90%가
1순위로 한석규에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78219.png)
특히나 90년대 중후반까지 필모를 보면
장르의 다양성도 그렇지만
그 장르에서 혹은 한국 영화 전체에 있어
중요한 분기점이 된 작품들이 즐비하다 보니
동료 배우들은 어떻게 저런 좋은 작품만 골라서 나올까
감탄하고 부러워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함
여기도 많으시겠지만 시네필들중에
고전 영화 특히 90년대 한국 영화 파는 분들이라면
이 작품들 찾아보신 분들도 있을 것임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78932.png)
그래서 1997년 당시 만 29세의 조선일보 모 기자 (?)는
이러한 한석규 신드롬에 대해 분석하면서
작품을 골라내는 심미안을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음
당시 충무로 섭외 1순위인 만큼 온갖 시나리오가
그에게 쏠리는 상황에서 그걸 골라내는 것도 능력이기 때문
(뜬금포지만 동진 옹은 30대 때 보다
4050일 때 더 회춘하신 게 느껴짐)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1421.png)
실제로 당시 한석규 본인도 각종 인터뷰에서
이러한 시나리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함
그래서 시나리오가 맘에 안 들면
친분 여부나 거액의 제의에도 가차 없이 거절해
주변 원망도 많이 들었단 후문
그래서 배우가 연기만 하면 그만이지
너무 따진다며 억까하는 기사도 나올 정도였다고 함
1999년 막동이 공모전 시작
한석규가 상금 전액 후원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1873.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2335.png)
그러던 중 한석규가 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바로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해마다 상금 전액을 한석규가 후원하기로 결정
당시 기준으로 상당한 금액이었다고 함
여기서 막동이란 이창동 감독이 연출한
초록 물고기에서 한석규가 열연한 캐릭터 이름으로
한석규가 가장 애정하는 캐릭터라고 함
실제로 공모전 이름뿐만 아니라
공식 팬클럽 이름도 막동이라고 할 정도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2748.png)
아무튼 이와 관련해 당시 인터뷰에서
한석규는 한국 영화의 큰 문제점으로
시나리오 부재와 쉽게 보는 풍토를 지적하며
(사실 이건 지금도 남아있는 듯하고)
좋은 시나리오 발굴을 위해 나설 것이라 밝힘
또한 그간 작품들 성공으로 얻은 이익을
충무로에 조금이라도 환원하는 차원이라고 말함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3182.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3556.png)
그렇게 뽑힌 제1회 당선작이
안재훈의 제노사이드란 작품임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의 불치병을 치료할
신약이 개발됐지만 이 약의 부작용으로
인류가 혼돈을 겪는다는 내용으로
50억 규모의 영화화까지 결정됐고
주연으로 한석규가 캐스팅됨
당시로선 상당한 기대작이였다고 함
제노사이드 등 연달아 2편 무산
(정말 중요한 시기에) 3년간의 공백기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3869.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4217.png)
하지만 제노사이드는 끝내 무산됨
이에 대해 한석규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시나리오 수정 문제 때문이라고 함
제노사이드만 무산된 게 아니라
광우란 작품도 무산되는데 제작사 쪽 문제라고 함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4594.png)
그러다 보니 한석규 행보에도 제동이 걸리는데
시나리오 선정 자체가 정말 신중한데
그렇게 어렵게 고르고 고른 작품들이
연달아 무산되다 보니 공백기가 길어짐
좀 아쉬운 점이 하필 저 시기 자체가
한국 영화가 쉬리 이후 급성장하던 시기였단 점
(물론 거품도 상당한 시기였다고 하고)
저 중요한 시기에 본의 아니게 쉬다 보니
90년대 중후반과 비교하면 입지가 많이 약화됐다고 함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5023.png)
게다가 3년 공백기 끝에 컴백한
이중간첩이란 작품이 실패하면서
마음 고생도 많이 한걸로 알려짐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5401.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5941.png)
하필 저 시기 고질적인 허리 디스크로도 고생하는데
군 시절 주특기가 60mm 박격포였는데 훈련받다
다치고 수술까지 받아 결국 상병 전역했는데
이중간첩 촬영하면서 또 재발해 수술하고 고생했다고 함
여기에 연기에 대한 회의까지 밀려와
연기를 왜 하나, 이렇게 연기하는 게 맞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시기라고 알려짐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86335.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0948.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1341.jpe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1664.png)
하지만 그런 힘든 시기 포함
10년간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식만큼은
꼭 참석해서 힘을 실어줬다고 함
그만큼 공모전 자체에 상당한 애정이 있었단 소리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2098.png)
공모전 당선작 중 실제 영화화된 작품으론
박대민 감독의 그림자 살인 (7회 당선작)
김정훈 감독의 탐정 시리즈 (8회 당선작) 등이 있음
왜 이 정도밖에 없냐 하는 분들도 계실 수 있는데
원래 이런 공모전 수상작들도
실제 영화, 드라마화되는 게 극소수 작품이고
되더라도 시간이 워낙 오래 걸리는 경우도 많다 보니 그럼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2664.png)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3302.png)
그리고 영화 남자 사용 설명서 (공동 집필)
KBS 드라마 대박부동산, 혼례 대첩을 집필한
하수진 작가도 막동이 시나리오 6회 당선자 출신임
(2020년대 이후 KBS 주중 미니시리즈가 죽 쑤고 있는데
대박부동산, 혼례 대첩은 그나마 선방한 축에 속함)
그 밖에도 현직 작가 중에
막동이 시나리오 당선자 출신이나
도전했던 분들 여럿 계심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37.png)
그렇게 10년 넘게 이어져 오던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은
2010년 12회를 끝으로 막을 내리게 됨
기획할 때부터 10년 정도 하기로 해서 그런 건데
많은 이들이 아쉬워하긴 했지만
유종의 미를 거뒀다고 평가됨
![](http://www.issuya.com/data/editor/2409/17269725994114.png)
한석규의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한창 한국 영화가 재도약하고 성장했던 시기
상당히 의미 있었던 프로젝트였다고 생각됨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