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적으로는 '독감'이라고 불리지만, 인플루엔자를 단순히 '독한 감기'로 경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권장되지 않는 용어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 (에이즈)
- 약 4,230만 명 사망
에이즈로 사망하는 이유는 에이즈를 유발하는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HIV)에 의한 사망이 아닌, 면역력 저하로 인한 기회감염과 종양 발생으로 인한 합병증이다.
(에이즈는 면역결핍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기회감염 등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의 일종이다.)
에이즈 사망자 수는 HIV 감염 이후로 나타나는 합병증 사망자 인구만 집계된 것이다.
콜레라
- 약 5천만명 이상 사망
19세기 당시만 해도 수액 요법이 도입되기 전 까지만해도 쌀뜨물과 같은 설사와 구토만 죽도록 하다가 탈수로 인한 쇼크증세로 사망하게 되는 무서운 질환이었다.
그러나 수액요법이 도입되면서 24시간 이내 정맥을 통한 수액 공급을 받게되면 치사율이 0.1% 이하로 떨어지며, 이와 더불어 상하수도 시설 개편, 예방백신이 개발되면서 선진국에선 보기 힘들어졌다.
오늘날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의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유행하는데,
과거부터 그러던 것 인지는 불명이지만, 오늘날 콜레라 감염자의 80%는 무증상 감염자이다.
결핵
- 최소 10억명 사망
천연두와 달리 지난 200년간 10억명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결핵의 첫 기원은 무려 기원 전 7,000년경 석기 시대의 화석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시점으로 현재까지 사망한 환자 수는 아직 불명이다.
단기간 내로 가장 많은 사람을 죽인 감염병으로, 항결핵제 개발 및 결핵 백신 BCG 개발 이후에도 불구하고 대기중으로 멀리 퍼져나가는 강력한 전염성과 더불어 소와 돼지, 사슴, 개,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를 비롯하여 닭과 오리를 비롯한 조류에게도 감염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특징 때문에 오늘날 전 세계에서 결핵으로 매년 약 150만명이 사망하고 있다.
여담으로 결핵균에 감염되더라도 면역력이 좋으면 대부분 무증상으로 지내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유증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영양실조 문제가 심한 아프리카에선 감염자의 대부분은 2주 이내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말라리아
- 최소 30억명 사망
최소가 30억명이지 사실상 50~60억명 정도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중이다.
기원 전 14세기 이집트의 기록에서부터 말라리아에 대한 발병 기록이 있으며, 이새끼가 모기를 통해 발견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1897년에 되서야 겨우 알아냈다고 밝혀진다.
(말라리아라는 명칭은 이탈리아어로 "나쁜 공기"라는 뜻으로, 과거 많은 사람들이 말라리아가 나쁜 공기를 통해 감염된다고 믿었다고...)
어떤 질병에 걸려 크게 고생을 하다가 병이 나았을 때, 흔히 "학을 떼다"라는 말에서 학이라는 뜻은 학질의 줄임말로, 과거 말라리아를 부르던 말인만큼 독한 질병인지는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