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당시 글라이더 보병의 특징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1344.jpeg)
우리가 '공수부대' 하면 <수송기에서 대공포화를 뚫고 낙하산으로 적진에 강하하는 부대> 를 생각한다.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4252.jpeg)
그러나 아무리 공수부대라 해도 화포같은 중화기와 지프같은 이동수단이 필요했으며
이를 낙하산으로 투하하는건 불가능에 가까웠다.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474.jpeg)
이에 따라 미군과 영국군은 공수사단에 '낙하산병 연대' 말고도 '글라이더 보병연대'를 추가로 편제했는데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675015235_1000x743.jpg)
여기서 '글라이더'는 <엔진의 도움 없이 활공 비행을 하는 항공기>로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5789.jpeg)
엔진이 없다 보니까 이륙시엔 다른 수송기가 글라이더를 견인했다.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6183.jpeg)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6576.jpeg)
이때 미군은 주로 지프차와 소구경 야포를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했으며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17174.jpeg)
영국군의 경우 주로 병력수송용으로 사용했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675017724_1000x563.jpg)
그러나 글라이더 보병은 낙하산병에 비해 취급이 좋지 않았는데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675020423.jpeg)
영국군의 경우 낙하산병은 전원 지원자인 반면 글라이더 보병의 경우 일반 보병 차출자로 구성됐으며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675020859_1000x563.jpg)
미군의 경우 공수부대가 받는 추가 수당을 받지 못했으나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에 추가수당을 받을 수 있었다.
0 Comments